반응형

[원문] 이면 魯하 이면 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나라가 한번 변하면 노나라에 이르고 노나라가 한번 변하면 도에 이른다.

 

[註]   하고 하니 이요 하고 하니 이로대 하야    俗이 이라 

 

[註解] 공자의 시대에 제나라 풍속이 공리를 우선으로 하고 과장되고 속이는 것을 좋게 여겼으니 바로 패도정치가 남긴 습속이다. 노나라는 예절 가르치는 것을 중하게 여기고 신의(信義)를 숭상하니 아직도 선왕의 유풍이 있는 듯 한대 다만 인물(어진 사람)이 없고 (훌륭한) 정사가 종식되어서 버려지고 실추된 것이 없을 수 없다. 도(道)는 선왕의 도이다. 두 나라의 정치 풍속이 아름답고 추한 것이 있으므로 그것이 변화하여 선왕의 도로 감에 어렵고 쉬운 것이 있음을 말씀하신 것이다.

 

*急은 여기서 "우선하다"의 뜻으로 해석했다.

*之는 "가다"의 뜻으로 쓰였다.

 

[註]   하니 리오 하고 하야 하니   이면 하고 魯는      

 

[註解] ○ 정자가 말씀하셨다. 공자 당시에 제나라는 강하고 노나라는 약하였으니 누구인들 제나라가 노나라보다 낫다고 여기지 않았겠는가? 그러나 노나라에는 오히려 주공의 법제가 남아있고 제나라는 환공의 패도에 말미암아서 간략함을 쫓고 공로를 숭상하는 정치를 하였으니 태공이 남긴 법이 모두 바뀌어 없어졌다. 그러므로 한번 변하면 바로 노나라에 이를 수 있고 노나라는 폐지되고 실추된 것을 거행하여 닦을 뿐이니 한번 변화하면 선왕의 도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내가(주자) 살펴보니 두 나라의 풍속을 오직 공자만이 변하게 할 수 있으나 시험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말씀에 기인하여 써 생각해보면 그가(공자) 시행함에 느리고 빠른 순서를 또한 대략 볼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