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溫故而知新이면 可以爲師矣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이것을 가지고 스승이 될 수 있다.
[註] 溫은 尋繹也요 故者는 舊所聞이요 新者는 今所得이니 言學能時習舊聞而每有新得則所學이 在我而其應不窮이라 故可以爲人師라 若夫記問之學은 則無得於心하야 而所知有限이라 故學記에 譏其不足以爲人師라하니 正與此意로 互相發也라
*우리가 흔히 쓰는 相互는 일본식 표현이고 互相은 현재 북한에서 쓰는 표현이다.
[註解] 溫은 찾고 연역하는 것이고 故는 예전에 들은 것이고 新은 지금에 알게 된 것이니 배움은 때로 예전에 들은 것을 익히고 매번 새로 얻은 것이 있으면 배운 것이 나에게 있어서 그 응용이 끝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남의 스승이 될 만한 것이다. 무릇 질문에 답하기 위한 학문은 마음에 깨닫는 것이 없어서 아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예기』 「학기」편에 남의 스승이 되기에 부족하다고 비난한 것이니 바로 이 뜻으로 더불어 서로 발명된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13장 (0) | 2021.10.18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12장 (0) | 2021.10.18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10장 (0) | 2021.10.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9장 (0) | 2021.10.1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위정편 8장 (0) | 2021.10.1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