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子曰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오랫동안 곤궁함에 처하지 않으며 장구하게 즐거움에 처할 수 없으니 어진 자는 仁을 편안히 여기고 지혜로운 사람은 仁을 이롭게 여긴다.
[註] 約은 窮困也라 利는 猶貪也니 蓋深知篤好而必欲得之也라 不仁之人은 失其本心이니 久約必濫하고 久樂必淫이라 惟仁者는 則安其仁而無適不然하고 知者는 則利於仁而不易所守니 蓋雖深淺之不同이라 然皆非外物에 所能奪矣라
[註解] 約은 곤궁하다는 것이다. 利는 貪과 같으니 대개 깊이 알고 도탑게 좋아해서 반드시 그것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그 본심을 잃으니 오래도록 곤궁하여 반드시 넘치고 오래도록 즐거워하여 반드시 빠지게 된다.(음탕해지게 된다) 오직 어진 사람은 그 仁을 편안히 하여서 가는 곳마다 그렇지 않은 것이 없고 지혜로운 사람은 仁을 이롭게 여겨서 지키는 바가 바뀌지 않으니 비록 깊고 얕음이 같지 않지만 모두 바깥 사물에 빼앗길 수 있는 바가 아니다.
[註] ○謝氏曰仁者는 心無內外遠近精粗之間하야 非有所存而自不亡하고 非有所理而自不亂하야 如目視而耳聽하며 手持而足行也라 知者는 謂之有所見則可거니와 謂之有所得則未可니 有所存이라야 斯不亡하고 有所理하야 斯不亂하야 未能無意也니 安仁則一이요 利仁則二라 安仁者는 非顏閔以上으로 去聖人爲不遠이면 不知此味也라 諸子雖有卓越之才라도 謂之見道不惑則可거니와 然未免於利之也라
[註解] ○사씨가 말했다. 어진 사람은 마음에 안과 밖, 멀고 가까움, 정밀하고 거침의 사이가 없어서 보존하는 바가 있지 않아도 저절로 없어지지 않고 다스리는 바가 있지 않아도 저절로 어지러워지지 않아서 마치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며, 손으로 쥐고 발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 지혜로운 사람은 소견이 있다고 이르는 것은 옳지만 소득이 있다고 이르는 것은 옳지 않으니 보존하는 바가 있어야 이에 없어지지 않고 다스리는 바가 있어야 이에 어지러워지지 않아서 의식이 없을 수가 없으니 仁을 편안히 여기는 것은 하나요, 仁을 이롭게 여기는 것은 둘이다. 仁을 편안히 여기는 것은 안연(顏淵)과 민자건(閔子騫) 이상으로 성인과의 거리가 멀지 않은 자가 아니면 이 맛을 알지 못한다. 여러 제자들은 비록 탁월한 재지가 있더라도 도를 보고 미혹되지 않았다고 이르는 것은 옳지만 이것(仁)을 이롭게 여기는 것을 면치 못했다.
*理는 여기서 ‘다스리다’로 해석한다.
*所見 : 어떤 일이나 사물을 살펴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
*공자가 가장 신임하였던 제자.
*공자의 제자로 효성과 덕행으로 유명함.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4장 (0) | 2021.11.02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3장 (0) | 2021.11.0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장 (0) | 2021.11.0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팔일편 26장 完 (0) | 2021.10.3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팔일편 25장 (0) | 2021.10.3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