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古者에 言之不出은 恥躬之不逮也니라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적에 말을 함부로 내뱉지 않은 것은 몸소 행함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러워해서이다.
[註] 言古者는 以見今之不然이라 逮는 及也라 行不及言은 可恥之甚이니 古者에 所以不出其言은 爲此故也라
[註解] 옛적을 말하신 것은 지금의 그렇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逮는 ‘미치다’의 뜻이다. 행실이 말에 미치지 못함은 부끄러울 만함이 심한 것이니 옛적에 그 말을 내뱉지 않은 까닭은 이 때문이었다.
[註] ○范氏曰君子之於言也는 不得已而後出之니 非言之難而行之難也라 人惟其不行也라 是以輕言之하니 言之如其所行하고 行之如其所言卽出諸其口에 必不易矣라
[註解] ○범씨가 말했다. 군자는 말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게 된 뒤에야 내뱉으니 말이 어려워서가 아니라 행실이 어려워서이다. 사람들은 행동하지 않는다. 이 까닭에 가볍게 말하는 것이니 말을 그 행하는 바와 같이 하고 행실을 그 말하는 바와 같이 하면 그 입에서 내뱉어 짐에 반드시 쉽게 못할 것이다.
*不得已는 ‘마지못해서’ ‘하는 수 없이’ ‘어쩔 수 없이’ 등의 뜻으로 쓰인다.
*학민문화사 원문에는 ‘하야’토로 되어있지만 ‘라’토가 적당해 보인다.
*학민문화사 원문에는 ‘나’토가 붙어 있지만 ‘하니’가 적당해 보인다.
*학민문화사 원문에는 ‘이요’토로 되어있지만 ‘하고’가 적당해 보인다.
*之於의 약자로 ‘저’로 읽는다.
*소주에 去聲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쉬울 이’로 해석한다.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24장 (0) | 2021.11.11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23장 (0) | 2021.11.11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21장 (0) | 2021.11.1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20장 (0) | 2021.11.0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9장 (0) | 2021.11.09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