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하시며  러시다

 

[독음] 조에 여하대부언에 간간여야하시며 여상대부언에 은은여야러시다

 

[해석] 조정에서 하대부와 말함에 강직한 듯 하시며 상대부와 말함에 온화한듯 하셨다.

 

[註] 此 君未視朝時也 王制 諸侯上大夫 이요 下大夫 五人이라 許氏說文 侃侃 剛直也 誾誾 和悅而諍也라

 

[독음] 차는 군미시조시야라 왕제에 제후상대부는 경이요 하대부는 오인이라 허씨설문에 간간은 강직야요 은은은 화열이쟁야라

 

[註解] 이것은 임금이 아직 조정을 보지 않을 때이다. 『예기』 「왕제」에 제후의 상대부는 경(卿)이고 하대부는 다섯 사람이다. 허씨의 설문해자에 간간(侃侃)은 강직이요 은은(誾誾)은 온화하게 기뻐하며 논쟁하는 것이다.

 

[원문] 어시든 하시며 러시다

 

[독음] 군재어시든 축척여야하시며 여여여야러시다

 

[해석] 임금이 계시거든 공경하여 편안하지 않은 듯 하시며 위의가 적중하는 듯 하셨다.

 

[註] 君在 視朝也 踧踖 恭敬不寧之貌라 與與 威儀中適之貌 張子曰與與 不忘向君也라하니 亦通이라

 

[독음] 군재는 시조야라 축척은 공경불녕지모라 여여는 위의중적지모라 장자왈여여는 불망향군야라하니 역통이라

 

[註解] 군재(君在)는 조정을 보는 것이다. 축척(踧踖)은 공경하여 편안하지 않은 모양이다. 여여(與與)는 위의가 적중한 모양이다. 장자가 말했다. "여여(與與)는 임금에 향하는 마음을 잊지 못함이라" 하니 또한 통한다.

 

[註] ○ 廷에

 

[독음] 차일절은 기공자재조정에 사상접하지부동야라

 

[註解] 이 일절은 공자께서 조정에 계심에 위를 섬기고 아래를 접함이 같지 않음을 기록한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