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君이 召使擯이어든 色勃如也하시며 足躩如也러시다
[독음] 군이 소사빈이어시든 색발여야하시며 족확여야러시다
[해석] 임금이 (공자를) 불러서 빈(擯)을 시키거든 얼굴 빛을 바꾸시며 발을 더듬으셨다(조심스레 걸으셨다)
[註] 擯은 主國之君이 所使出接賓者라 勃은 變色貌라 躩은 盤辟貌니 皆敬君命故也라
[독음] 빈은 주국지군이 소사출접빈자라 발은 변색모라 확은 반벽모니 개경군명고야라
[註解] 빈(擯)은 종주국의 임금이 나가서 손님을 접객하게끔 시키는 사람이다. 발(勃)은 얼굴 빛이 변하는 모양이다. 확(躩)은 발을 더듬는 모양이니 모두 임금의 명을 공경한 까닭이다.
*盤辟은 '몸 사릴 반(盤)'과 '절름발이 벽(辟)'의 뜻을 가져와서 발을 더듬으며 조심스럽게 걷는 모습으로 보았다.
[원문] 揖所與立하사대 左右手러시니 衣前後襜如也러시다
[독음] 읍소여립하사대 좌우수러시니 의전후첨여야러시다
[해석] 더불어 서있는 바에 읍하시되 손을 좌우로 하시니 옷자락의 앞과 뒤가 가지런하였다.
[註] 所與立은 謂同爲擯者也라 擯用命數之半하니 如上公九命則用五人하야 以次傳命이라 揖左人則左其手하고 揖右人則右其手라 襜은 整貌라
[독음] 소여립은 위동위빈자야라 빈용명수지반하니 여상공구명즉용오인하야 이차전명이라 읍좌인즉좌기수하고 읍우인즉우기수라 첨은 정모라
[註解] 더불어 서있는 바(所與立)는 같이 빈(擯)이 된 자를 이른다. 빈은 명수의 반을 쓰니 만약 상공(上公)이 아홉명이면 다섯 사람을 써서 순서대로 명을 전한다. 왼쪽 사람에게 읍하면 그 손을 좌로하고 오른쪽 사람에게 읍하면 그 손을 우로 한다. 첨(襜)은 가지런한 모양이다.
[원문] 趨進에 翼如也러시다
[독음] 추진에 익여야러시다
[해석] 빠르게 나아감에 날개를 편듯 하셨다.
[註] 疾趨而進에 張拱端好如鳥舒翼이라
[독음] 질추이진에 장공단호여조서익이라
[註解] 빨리 추창(趨蹌)하여 나아감에 팔을 펴고 손을 모아서 단정하고 아름다움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편 듯하였다.
*張拱은 張臂拱手의 줄임말로 팔을 내밀고 손을 모은 것이다.
*추창(趨蹌)은 예도(禮度)에 맞추어 제 허리를 굽히고 빨리 걸어감의 의미이다.(네이버한자사전)
[원문] 賓退어든 必復命曰賓不顧矣라하더시다
[독음] 빈퇴어든 필복명왈빈불고의라하더시다
[해석] 손님이 물러가면 반드시 복명하여 말하길 "손님이 돌아보지 않았다"고 하셨다.
[註] 紓君敬也라
[독음] 서군경야라
[註解] 임금의 공경을 푼 것이다.
[註] ○此一節은 記孔子爲君擯相之容이라
[독음] 차일절은 기공자위군빈상지용이라
[註解] ○이 한절은 공자가 임금을 위하여 빈상(擯相)이 되었을 때의 모습을 기록한 것이다.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5장 (0) | 2023.01.14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4장 (1) | 2023.01.14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2장 (1) | 2022.12.30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향당편 1장 (0) | 2022.12.29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자한편 30장 完 (0) | 2022.11.2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