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당체지화)여 (편기번이)로다 (기불이사)리오마는 (실시원이)니라

 

[독음] 당체지화여 편기번이로다 기불이사리오마는 실시원이니라

 

[해석] 산사나무의 꽃이여 그 흔들리고 나부끼는도다 어찌 너를 생각하지 않으리오마는 집이 멀어서이니라

 

[註] 唐棣 郁李也  晉書에 作翩이라 然則反이 亦當與翻同이니 言華之搖動也  助語也  逸詩也 於六義 屬興이라 上兩句 無意義요 但以起下兩句之辭耳 其所謂爾 亦不知其何所指也라

 

[독음] 당체는 욱이야라 편은 진서에 작편이라 연즉번이 역당여번동이니 언화지요동야라 이는 조어야라 차는 일시야니 어육의에 속흥이라 상양구는 무의의요 단이기하양구지사이라 기소위이는 역부지기하소지야라

 

[註解] 당체(唐棣)는 산앵두나무이다. 편(偏) 진나라 책에 나부낄 번(翩)으로 되어있다. 그렇다면 반(反)이 또한 마땅히 번(翻)과 같아야 하니 꽃이 흔들리고 움직임을 말한다. 이(而)는 어조사이다. 이는 시경에 빠져있는 시이니 육의에 흥(興)에 속한다. 위의 두 구절은 뜻이 없고 다만 써 아래 두 구절을 일으키는 말일 뿐이다. 아마도 이른바 이(爾)는 또한 무엇을 가리키는 바인지 알 수 없다.

 

[원문] (자왈) (미지사야)언정 (부하원지유)리오

 

[독음] 자왈미지사야언정 부하원지유리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생각하지 않을지언정 어찌 멂이 있겠는가?"

 

[註] 夫子借其言而反之하니 蓋前篇仁遠乎哉之意라

 

[독음] 부자차기언이반지하니 개전편인원호재지의라

 

[註解] 공자께서 그 말을 빌려서 뒤집었으니 아마도 앞 편의 인(仁)이 멀리 있는가?의 뜻이다.

 

[註] 程子曰聖人 未嘗言易하야 以驕人之志하고 亦未嘗言難하야 以阻人之進하고 但曰未之思也언정 夫何遠之有리오하니 此言 極有涵蓄하야 意思深遠이라

 

[독음] 정자왈성인이 미상언이하야 이교인지지하고 역미상언난라야 이조인지진하고 단왈미지사야언정 미하원지유리오하니 차언이 극유함축하야 의사심원이라

 

[註解] 정자가 말했다. "성인이 일찍이 쉬움을 말하여 써 사람들의 뜻을 교만하지 않게 하고 또한 일찍이 어려움을 말하여 써 사람들의 나아감을 막지 않으시고 다만 말하길 '생각하지 않을지언정 어찌 멂이 있겠는가'하니 이 말이 지극이 함축이 있어 뜻과 생각이 깊고 멀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