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하사 러시다

 

[독음] 공자어향당에 순순여야하사 사불능언자러시다

 

[해석] 공자께서 향당에서 신실한듯 하여 말이 능하지 못한 것 같이 하셨다.

 

[註] 恂恂 信實之貌 似不能言者 謙卑遜順하야 不以賢先人也 鄕黨에 父兄宗族之所在 故孔子居之 其容貌辭氣如此라

 

[독음] 순순은 신실지모라 사불능언자는 겸비손순하야 불이현지선인야라 향당에 부형종족지소재라 고공자거지에 기용모사기여차라

 

[註解] 恂恂(순순)은 신실한 모양이다. 말이 능하지 못한것 같이 한다는 것은 겸손하게 낮추어 손순하여 어짊과 지혜로써 남보다 앞서지 않는 것이다. 향당에 부모, 형제, 사당과 친척이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거하심에 그 용모와 말재주를 이와같이 하셨다.

 

*손순(遜順) :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가 있음.

*는 소주(小註)에 거성(去聲)으로 되어있으면 智로 본다.

 

[원문] 하사는 便便하사대 러시다

 

[독음] 기재종묘조정하사는 변변언하사대 유근이러시다

 

[해석] 그가(공자가) 종묘와 조정에 계셔서는 말재주가 있었으되 다만 삼가셨다.

 

[註] 便便 辯也 宗廟 禮法之所在 朝廷 政事之所出이니 言不可以不明辨이라 故必詳問而極言之로대 但謹而不放爾라

[독음] 변변은 변야라 종묘는 예법지소재요 조정은 정사지소출이니 언불가이불명변이라 고필상문이극언지로대 단근이불방이라

[註解] 변변(便便)은 말재주다. 종묘(宗廟)는 예와 법이 있는 곳이고 조정(朝廷)은 정사가 나오는 곳이니 말을 함에 말재주를 분명하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반드시 상세히 묻고서 지극하게 말하되 다만 삼가하여 함부로하지 않을 뿐이다.

 

[註] ○此一節 記孔子在鄕黨宗廟朝廷에 言貌之不同이라

 

[독음] 차일절은 기공자재향당종묘조정에 언모지부동이라

 

[註解] 이 한절은 공자께서 향당과 종묘, 조정에 계실적에 말씀과 용모의 같지 않음을 기록한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