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王  之라하 로소이다 之하 호대 이라니 之하시니 心에 焉하여이다 者는 잇고

 

[독음] 왕이 열왈시운타인유심을 여촌탁지라하니 부자지위야로소이다 부아내행지하고 반이구지호대 부득어심이라니 부자언지하시니 어아심에 유적적언하여이다 차심지소이합어왕자는 하야잇고

 

[해석] 왕이 기뻐하며 말했다. "시경에 이르기를 '다른 사람이 가진 마음을 내가 헤아린다'하니 선생님을 이르는 것입니다. 내가 이내 그렇게 행하고 도리어 (이유를) 구하였는데 제 마음을 얻지 못하였으니 선생님께서 말해주시니 제 마음에 뭉클한 것이 있습니다. 이 마음이 써 왕 노릇 하는 것에 합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註] 詩 이라   王이  萌하야 心이 이라 

 

[독음] 시는 소아교언지편이라 적적은 심동모라 왕이 인맹자지언이전일지심이 부맹하야 내지차심이 부종외득이라 연유미지소이반기본이추지야라

 

[註解] 시는 소아 대아편이다. 적적은 마음이 움직이는 모양이다. 왕이 맹자의 말을 인하여 전날의 마음이 다시 싹터서 곧 이 마음이 밖에서 좇아 얻어지지 않음을 안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그 근본을 돌이켜서 미루는 바를 알지 못하였다.

 

[원문] 曰羽하 輿이라하면  乎잇  今에  잇고 擧는 이며 輿 이며  이니   也언 니이다

 

[독음] 왈유복어왕자왈오력족이거백균이부족이거일우하며 명족이찰추호지말이불견여신이라하면 즉왕은 허지호잇가 왈부라 금에 은족이급금수이공부지어백성자는 독가여잇고 연즉일우지불거는 위불용력언이며 여신지불견은 위불용명언이며 백성지불견보는 위불용은언이니고로 왕지불왕은 불위야언정 비불능야니이다

 

[해석] 맹자가 말했다. "왕에게 아뢰는 자가 말하기를 '저의 힘이 족히 써 삼천근을 들 수 있는데 족히 써 깃털 하나를 들지 못하며 밝게 (보기를) 족히 써 추호의 끝을 볼 수 있으나 수레의 섶을 보지 못한다면 왕은 허락하시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아닙니다." (맹자가 말했다) "지금에 은혜가 족히 써 금수에 미치고도 공이 백성에게 이르지 못하는 것은 유독 어째서입니까? 그렇다면 깃털 하나를 들지 못함은 힘을 쓰지 않는 것이 되며, 수레의 섶을 보지 못함은 밝게 쓰지 않는 것이 되며, 백성들의 보호 받지 못함은 은혜를 쓰지 않는 것이 되니 그러므로 왕께서 왕 노릇 하지 못함은 하지 않는 것일 지언정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닙니다."

 

*추호(秋毫) : 가을철에 털갈이하여 새로 돋아난 짐승의 가는 .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不見保에서 見은 뒤에 있는 保를 피동의 형태로 만들어서 보호 받지 못함의 뜻이 된다.

 

[註] 復   이니        銳하  輿 이니       하니  이라  緩하  이어늘     

 

[독음] 복은 백야라 균은 삼십근이니 백균은 지중난거야라 우는 조우니 일우는 지경이거야라 추호지말은 모지추이말예하니 소이난견야라 여신은 이거재신이니 대이이견야라 허는 유가야라 금은이하는 우맹자지언야라 개천지지성에 인위귀하니 고인지여인이 우위동류이상친이라 시이측은지발이 즉어민절이어물완하고 추광인술은 즉인민이이애물난이어늘 금왕차심이 능급물의라 즉기보민이왕이 비불능야나 단자불긍위이라

 

[註解] 복은 아뢴다는 뜻이다. 균은 삼십근이니 백균은 지극히 무거워서 들기 어렵다. 우는 새의 날개이니 한 날개는 지극히 가벼워서 들기 쉽다. 추호지말은 털이 가을에 이르러서 끝이 예리해지니 작아서 보기 어렵다. 여신은 수레로써 섶을 실은것이니 커서 보기가 쉽다. 허는 옳다는 뜻과 같다. 금인 아래로는 또한 맹자의 말이다. 대개 천지의 성에 사람이 귀함이 되니 그러므로 사람과 사람이 또한 동류가 되어서 서로 친하다. 이 까닭에 측은한 마음이 발함이 백성에게 간절하고 사물에는 느리고 인의 방법을 미루어 넓힘은 백성에게 인함은 쉽고 사물을 사랑하기는 어려운 것이거늘 지금 왕의 이 마음이 능히 사물에 미친 것이다. 그 백성을 보호하고 왕 노릇 함이 능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다만 스스로 즐겨하지 않을 뿐이다.

 

[원문] 曰  잇고 山하  이라하면  어니와  이라하면  언정      니이다

 

[독음] 왈불위자와 여불능자지형이 하이리잇고 왈협태산하야 이초북해를 어인왈아불능이라하면 시는 성불능야어니와 위장자절지를 어인왈아불능이라하면 시는 불위야언정 비불능야니 고로 왕지불왕은 비협태산이초북해지류야라 왕지불왕은 시절지지류야니이다

 

[해석] (왕이) 말했다. "하지 않는 사람과 능하지 못한 사람의 형상이 어떻게 다릅니까?" (맹자가) 말했다. "태산을 끼고서 써 북해를 뛰어넘는 것을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할 수 없다'라고 하면 진실로 할 수 없는 것이지만 장성한 자를 위해 나뭇가지를 꺾는 것을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 할 수 없다'라 하면 이는 하지 않을지언정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니 그러므로 왕께서 왕노릇 하지 못함은 태산을 끼고서 북해를 건너는 부류가 아닙니다. 왕께서 왕 노릇 하지 못함은 이것은 나뭇가지를 꺾는 부류입니다.

 

[註] 形       으로   心이 하야    리오

 

[독음] 형은 상야라 협은 이액지물야라 초는 약이과야라 위장자절지는 이장자지명으로 절초목지지니 언불난야라 시심이 고유하야 부대외구니 확이충지는 재아이이니 하난지유리오

 

[註解] 형은 형상이다. 협은 겨드랑이로써 사물을 가지는 것이다. 초는 뛰어올라서 가는 것이다. 장자를 위해 가지를 꺾음은 장성한 자의 명으로써 초목의 가지를 자르는 것이니 어렵지 않다고 말한 것이다. 이 마음이 고유해서 밖에서 구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넓히고 채움은 나에게 달려있을 뿐이니 어찌 어려움이 있겠는가?

 

[원문] 老老하 老하 幼하  下는 이니 妻하 弟하 이라하니 心하   이면  이면    이라   니잇고

 

[독음] 노오노하야 이급인지노하며 유오유하야 이급인지유면 천하는 가운어장이니 시운형우과처하야 지우형제하야 이어우가방이라하니 언거사심하야 가저피이이니 고로 추은이면 족이보사해요 불추은이면 무이보처자니 고지인이 소이대과인자는 무타언이라 선추기소위이이의니 금에 은족이급금수이공부지어백성자는 독하여니잇고

 

[해석] 노인 섬기기를 내 부형인듯 하여 그것을 가지고 남의 부형에 미치며 아이 기르기를 내 자제인듯 하여 그것을 가지고 남의 자제에 미친다면 천하는 가히 손바닥에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시에 이르기를 ' 아내에게 모범이 되고 형제에게 지극히 하여 집안과 나라를 다스린다'하니 이 마음을 들어서 저기에 더함을 말할 뿐이니 그러므로 은혜를 미루면 족히 써 사해를 보존할 수 있고 은혜를 미루지 않으면 써 처자식을 보존할 수 없으니 옛 사람들이 과인(過人) 보다 큰 까닭은 다른 것이 없습니다. 그 하는 바를 잘 미루었을 뿐이니 지금에 은혜를 족히 써 금수에게 미치고서 공이 백성에게 이르지 못함은 유독 어째서입니까?

 

[註] 老   이요  이라          이라           하고    民하  物하 하며 이어늘 王이  

 

[독음] 노는 이노사지야니 오노는 위아지부혀이요 인지노는 위인지부형이라 유는 이유휵지야니 오유는 위아지자제요 인지유는 위인지자제라 운어장은 언이야라 시는 대아사제지편이라 형은 법야라 과처는 과덕지처니 겸사야라 어는 치야라 불능추은즉중반친리라 고무이보처자라 개골육지친이 본동일기하고 우비단약인지동류이이라 고고인이 필유친친추지연후에 급어인민하고 우추기여연후에 급어애물하니 개유근이급원하며 자이이급난이어늘 금왕이 반지즉필유고의라 고부추본이재문지라

 

[註解] 노는 써 노인을 섬기는 것이니 오노는 나의 부형을 이르고 인지노는 남의 부형을 이른다. 유는 아이를 기르는 것이니 오유는 나의 자제를 이르고 인지유는 남의 자제를 이른다. 운어장은 쉬움을 말한다. 시는 대아 사제편이다. 형은 본받는 것이다. 과처는 덕이 적은 이의 아내이니 겸양의 말이다. 어는 다스림이다. 능히 은혜를 미루지 못하면 대중이 배반하고 가까운 이가 떠나간다. 그러므로 처자식을 보존할 수 없게 된다. 대개 골육의 가까움이 본래 한 기를 같이하고 또 다만 사람의 동류와 같을 뿐만 아니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반드시 친한이를 친하게 여기는 것에 말미암아 미룬 뒤에 백성에 인을 미치고 또 그 남은 것을 미룬 연후에 사물을 아끼는 것에 미치니 모두 가까운 것에 말미암아 먼것에 미치며 쉬운것으로부터 어려운 것에 미치거늘 지금 왕이 반대로 하니 반드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다시 근본을 미루어 재차 물은 것이다.

 

[원문] 權 重하 後에 이니 이어니와 甚하 之하소서

 

[독음] 권연후에 지경중하며 도연후에 지장단이니 물개연이어니와 심위심하니 왕청탁지하소서

 

[해석] 저울질 한 뒤에 가볍고 무거움을 알며 잰 뒤에 길고 짧음을 아니 사물이 모두 그러하거니와 마음이 심하니 왕께서는 청컨대 헤아리소서

 

[註]         後에 이니  하야    姓은  長하  하야  端하  

 

[독음] 권은 칭추야라 도는 장척야라 탁지는 위칭량지야라 언물지경중장단은 인소난제니 필이권도로 탁지이후에 가견이니 약심지응물은 즉기경중장단지난제하야 이불가불탁이본연지권도요 우유심어물자니 금왕이 은급금수이공부지어백성은 시기애물지심이 중차장하고 이인민지심이 경차단하야 실기당연지서이부자지야라 고상문기발기단하고 이어차에 청왕탁지야라

 

[註解] 권은 저울을 칭한다. 도는 장과 척이다. 탁지는 헤아리는 것을 이른다. 사물의 가볍고 무거움 길고 짧음은 사람이 똑같이하기 어려운 바이니 반드시 저울과 척도로써 헤아린 뒤에 볼 수 있으니 예컨대 마음이 사물에 응함은 그 가볍고 무거움, 길고 짧음을 가지런히 하기 어려워서 가히 본연의 저울과 척도로써 헤아리지 않을 수 없고, 또 사물보다 심한 것이 있으니 지금 왕이 은혜를 금수에 미치면서 공을 백성에게 이르게 하지 않음은 이것은 그 사물을 아끼는 마음이 무겁고 또 긴 것이고 백성을 인하는 마음이 가볍고 또 짧아서 그 당연한 순서를 잃고서도 스스로 알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윗 문장에서 이미 그 단서를 밝히고 여기에서 왕이 헤아리기를 청한 것이다.

 

[원문] 抑 하며 臣하 에아 잇가

 

[독음] 억왕은 흥갑병하며 위사신하야 구원어제후연후에아 쾌어심여잇가

 

[해석] 아니면 왕께서는 갑옷과 병장기를 일으켜 군사와 신하를 위태롭게 하여 제후들과 원한을 맺은 연후에야 마음이 편하겠습니까?

 

[註] 抑   士也        하야 

 

[독음] 억은 발어사라 사는 전사야라 구는 결야라 맹자이왕애민지심이 소이경차단자는 필기이시삼자위쾌야니 연삼사실비인심지소쾌니 유심어살곡속지우자라 고지이문왕하야 욕기이차이탁지야라

 

[註解] 억은 발어사이다. 사는 전사다. 구는 맺는 것이다. 맹자가 왕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가볍고 또 짧다고 한것은 반드시 이 세 가지로 쾌를 삼기 때문일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세 일은 진실로 사람 마음의 쾌할바가 아니니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를 죽이는 것보다 심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리켜서 왕에게 물어 이로써 헤아리게 하고자 한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