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由는 使잇가  果하  리오  使잇가  達하  리오 也는 使잇가  藝하  리오

 

[해석] 계강자가 물었다. 중유는 정사에 종사할만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유는 결단이 있으니 정치에 종사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계강자가) 말했다. 자공은 정사에 종사할만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공은 통달하였으니 정사를 종사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계강자가) 말했다. 염구는 정사에 종사할만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염구는 다재다능하니 정사에 종사함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여기서 何有는 何難之有의 줄임말로 "무슨 어려움이 있는가"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註]    이요    이라 

 

[註解] 정사에 종사한다는 것은 대부가 되는 것을 이른다. 果는 결단이 있는 것이고 達은 사리에 통한 것이고 藝는 재능이 많은 것이다.

 

[註] ○ 아하니 하니  長이 長하 

 

[註解] ○ 정자가 말씀하셨다. 계강자가 세 사람의 재능이 가히 정사에 종사할만한지를 묻자 공자께서 각각 장점인 바가 있다고 대답하시니 세 사람 뿐만 아니라 사람마다 각기 장점인 것이 있으니 그 장점을 취하면 모두 쓸만한 것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