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子曰能以禮讓이면 爲國乎에 何有하며 不能以禮讓으로 爲國이면 如禮에 何리오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능히 예와 겸양으로써 한다면 나라를 다스림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며 능히 예와 겸양으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면 예를 어찌하겠는가?
*何難之有에서 難之가 생략된 것이다.
[註] 讓者는 禮之實也라 何有는 言不難也라 言有禮之實하야 以爲國則何難之有리오 不然則其禮文雖具나 亦且無如之何矣온 而況於爲國乎아
[註解] 讓은 예의 실제이다. 何有는 어렵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예의 실제가 있어서 나라를 다스리면 어찌 어려움이 있겠는가? 그렇지 않다면 그 예문이 비록 갖추어져 있어도 또한 장차 어찌할 수 없으니 하물며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서랴.
반응형
'동양고전 읽기 > 논어집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5장 (0) | 2021.11.07 |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4장 (0) | 2021.11.07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2장 (0) | 2021.11.06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1장 (0) | 2021.11.05 |
【동양고전읽기】논어집주 - 이인편 10장 (0) | 2021.11.0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