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이어시늘 러니

 

[독음] 증자유질이어시늘 맹경자문지러니

 

[해석] 증자께서 병환이 있으시거늘 맹경자가 병을 물었더니

 

[註]   이라  

 

[독음] 맹경자는 노대부중손씨니 명첩이라 문지자는 문기질야라

 

[註解] 맹경자는 노나라 대부 중손씨이니 이름이 첩이다. 문지(問之)라는 것은 그 병을 물은 것이다

 

[원문] 哀하  이니라

 

[독음] 증자언왈조지장사에 기명야애하고 인지장사에 기언야선이니라

 

[해석]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새가 장자 죽으려 함에 그 울음이 애달프고 사람이 장차 죽으려 함에 그 말이 선하다.

 

[註]    하고  이라   子로

 

[독음] 언은 자언야라 외경사고로 명애하고 인궁반본고로 언선이라 차는 증자지겸사니 욕경자로 지기소언지선이지지야라

 

[註解] 언(言)은 스스로 말함이다. 새는 죽음을 두려워하므로 울음이 슬프고 사람은 궁구하여 근본으로 돌아가므로 말이 선하다. 이는 증자의 겸손한 말이니 경자로 하여금 그 말의 선한 바를 알아서 기억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識은 '식'과 '지'로 읽힌다. 여기서는 소주에 따라 '지'로 읽고 '기억하다'의 뜻으로 해석한다.

 

[원문] 이니     氣에  이니라

 

[독음] 군자소귀호도자삼이니 동용모에 사원포만의며 정안색에 사근신의며 출사기에 사원비패의니 변두지사즉유사존이니라

 

[해석] 군자가 도에 귀하게 여기는 바가 셋이니 용모를 움직임에 이에 사나움과 태만함을 멀리하며 안색을 바르게 함에 이에 미더움에 가깝게 하며 말 기운을 냄에 이에 비루하고 위배됨을 멀리해야 하니 제기를 다루는 일은 관리에게 있다.

 

*倍는 '배'와 '패'로 읽힌다. 여기서는 언해를 따라 '패'로 읽고 '위배되다' '배반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註]    이라               同이          이니 하야   이니 體엔    

 

[독음] 귀는 유중야라 용모는 거일신이언이라 포는 조려야요 만은 방사야라 신은 실야니 정안색이근신즉비색장야라 사는 언어요 기는 성기야라 비는 범루야요 패는 여패동이니 위패리야라 변은 죽두요 두는 목두라 언도수무소부재라 연군자소중자는 재차삼사이이라 시개수신지요요 위정지본이니 학자소당조존성찰하야 이불가유조차전패지위자야라 약부변두지사는 기수지말이니 도지전체엔 고무불해라 연기분즉유사지수요 이비군자지소중의라

 

[註解] 귀(貴)는 중(重)과 같다. 용모는 한 몸을 들어서 말한 것이다. 포(暴)는 거칠고 사나움이요 만(慢)은 방자함이다. 신(信)은 신실(信實)함이니 안색을 바르게함에 신실함에 가깝게 한다면 안색만 장엄한 것이 아니다. 사(辭)는 언어이고 기(氣)는 소리이다. 비(鄙)는 비루함이고 패(倍)는 패(背)와 같으니 이치에 위배됨을 이른다. 변(籩)은 대나무로 만든 제기(祭器)이고 두(豆)는 나무로 만든 제기(祭器)이다. 도가 비록 있지 않은 바가 없다. 그러나 군자가 중하게 여기는 바의 것은 이 세가지가 있을 뿐이다. 이는 모두 수신의 요체이고 정사의 근본이 되니 배우는 자들이 마땅히 마음을 다잡고 성찰하여 가히 경황 없고 위급한 상황에서도 어김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제기를 두는 일로 말함은 그릇 개수의 말단이니 도의 전체에는 진실로 포함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나 그 직분은 유사(有司)의 지킴이요 군자가 중히 여길 바가 아님을 말씀하신 것이다.

 

*背는 倍와 마찬가지로 '배' 또는 '패'로 읽히는데 여기서는 '패'로 읽는다.

*言은 여기서 문장 맨 마지막 矣까지 걸린다

 

[]     이니   이면    이라  本이 이라

 

[독음] 정자왈동용모는 거일신이언야니 주선중예면 포만사원의요 정안색즉불망이니 사근신의요 출사기에 정유중출이면 사원비배니 삼자는 정신이불외구라 고왈변두지사즉유사존이라 윤씨왈양어중즉견어외니 증자개이수기위위정지본이니 약내기용사물지세즉유사존언이라

 

[註解] 정자가 말씀하셨다. "용모를 움직임은 한 몸을 들어서 말한 것이니 온몸을 움직여서 행동하여 예에 적중하면 사납고 태만함이 멀어지고, 안색을 바르게 하면 망령됨이 없으니 이에 신실함에 가까워진다. 말 소리를 냄에 바로 중심에서 말미암아 나오면 이에 비루함과 위배됨이 멀어지니 세가지는 몸을 바르게 하여 밖에서 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변두의 일은 유사(有司)에게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윤씨가 말했다. 마음속에서 기르면 외면에 드러나니 증자께서 수기(修氣)로써 정사의 근본이 된다고 여기셨으니 그릇을 씀과 사물의 세세함으로 말하자면 유사에게 있는 것이다.

 

*이 註는 학민문화사 영인본에는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정자의 말로 시작하는 점과 다른 영인본을 참고했을 때 ○로 시작하는 장하주(章下註)로 보는 것이 옳은 듯하다.

*若乃와 則은 서로 묶여서 일종의 숙어로 쓰인다. '~말하자면'의 뜻으로 쓰인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